오늘 (2022.03.07) 주식 뉴스를 보면 '코스피 시총 상위 10 종목 초반 다 내려'라는 기사 제목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뉴스를 보거나 주식을 시작할 때 시총 또는 시가총액 이란 말을 들어보셨을 텐데요.
뭔가 중요한 것 같긴 한데... 높으면 좋은 것 같긴 한데...
정확히 무슨 의미인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 시가총액에 대하여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시가총액이란
그 회사의 규모, 가치를 평가할 때 사용하는 지표로
발행주식수 × 주가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발행주식이 100주이고, 주가가 10만 원이면 이 기업의 시가총액은 1000만 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의 중요성
주식을 할 때 시가총액을 같이 보는 이유는
주가는 액면분할이나 무상증자와 같은 요인에 변하기 때문에 주가로만은 그 기업의 규모나 가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현재 국내 기준 시가총액 1위 기업 삼성전자의 경우 주식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 주가가 1/50으로 액면 분할한 가격 70000원 선(22.03.07 기준)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시가총액이 기준으로 보아야 하는 이유입니다.
또한 시가총액의 순위 변동을 보면 현재 국내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분야를 볼 수 있어서 앞으로 어떤 산업이 흥할지 예측하고 투자를 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 보는 법
예를 들어 국내 증시의 시가총액을 확인하고 싶다면
검색창에 '기업명 시가총액'을 검색해도 되고
시가총액 순위를 알고 싶다면 포털사이트 금융란에 들어가서 시가총액을 검색하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국내 시가총액 순위 (22.03.07 기준)-코스피 기준
국내 시가총액 1위는 삼성전자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액면분할로 주가는 낮지만 시가총액은 417조 2878억 원으로 부동의 1위네요.
2위는 얼마 전 상장한 LG에너지솔루션 (97조 3440억 원), 3위는 SK 하이닉스 (86조 9963억 원)으로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4위 삼성전자 우선주 (52조 9939억 원), 5위는 네이버 (50조 2810억 원), 6위는 삼성 바이오로직스 (49조 9546억 원), 7위는 카카오 (40조 9839억 원), 8위는 LG화학 (35조 8609억 원), 9위는 현대차 (35조 4689억 원), 10위는 삼성 SDL (34조 8636억 원)입니다.
미국 시가총액 순위 (22.03.07 기준)- 나스닥 기준
현재 (22년 3월 7일 기준) 미국에서 시가총액이 가장 높은 기업은 애플사 (2조 6628억 달러)입니다. 2위는 마이크로 소프트사 (2조 1730억 달러), 3위는 아마존(1조 4821억 원 달러)이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4위 구글-보통주 (9110억 달러), 5위 테슬라 (8663억 달러), 6위 구글-우선주 (8340억 달러), 7위는 반도체 회사 엔비디아 (5734억 달러), 8위는 요즘 핫한 메타 주가인 메타 플랫폼스-보통주 (5445억 달러), 9위는 반도체 관련주 ASML (2392억 달러), 10위는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 (2441억 달러)입니다. 반도체 산업이 강세네요.
오늘은 시가총액에 대해 알아보고 국내와 미국의 시가총액 TOP10을 살펴보았습니다.
시가총액을 토대로 기업 자료들을 잘 살펴보고 알맞은 주식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주식투자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가 공부해야 할 DART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0) | 2022.03.10 |
---|---|
주식용어편- PER, PBR, ROE, EPS (0) | 2022.03.08 |
2022년 국내 주식 거래 시간 , 휴장일, 만기일 (0) | 2022.03.04 |
시가총액이 무엇인가요? (0) | 2020.10.07 |
하반기 상장 관련주 '크래프톤 KRAFTON' 알아보자 (0) | 2020.10.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