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기초

주식용어편- PER, PBR, ROE, EPS

by 퍼포먼스마케터No.1 2022. 3. 8.
반응형

 

주식용어알기

 

주식을 처음 시작할 때,

모르는 용어 투성이라 주가와 기업명만 보고 샀었는데요.

얼마 지나지 않아 한계에 부딪히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주식 용어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용어들을 보면 대부분 약자인 것을 알 수 있는데요. 무슨 약자인지만 알아도 대충의 의미는 파악할 수 있어요. 

 

지금부터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EPS- Earning Per Share 

 

EPS은 Earning Per Share의 약자로 '주당순이익'을 뜻합니다.

 

EPS(주당순이익) : 당기순이익 / 주식 수

 

주식 1주당 순이익을 계산하기 위한 지표로 기업이 1주당 순이익을 얼마나 창출했는지 보여줍니다.

 

당기순이익이 높거나 주식 수가 적을수록 EPS는 높아지고,

당기순이익이 낮거나 주식 수가 많을수록 EPS는 낮아집니다. 

 

EPS에 내가 갖고 있는 주식 수를 곱하면 순이익 중 나의 지분(?) 또한 알 수 있겠죠. 

주당순이익이 커지면 주가가 상승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참고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PER-Price Earning Ratio

 

PER은 Price Earning Ratio 약자로 '주가수익률'을 뜻합니다.

 

PER(주가수익률) : 주식 가격 / 주당 순이익 (EPS)= 시가총액 / 연간 순이익

 

주가를  EPS 즉,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주가 대비 수익률로 주가가 수익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가가 높거나, EPS가 낮으면 주가수익률을 높아지고

주가가 낮거나, EPS가 높으면 주가수익률은 낮아집니다.

 

통상적으로 PER이 10보다 낮으면 저 PER 주로 구분되지만 어디까지나 참고 지표로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PBR-Price on Book value Ratio

 

PBR은 Price on Book value Ratio의 약자로 '주가 순자산 비율'을 뜻합니다.

 

PBR (주가 순자산 비율) : 주식 가격 / 주당순자산가치 = 시가총액 / 자기 자본

 

주가를 주당 순자산 가치로 나눈 값입니다. 여기서 순자산은 자산-부채를 뜻합니다. 

주가가 순자산 대비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 청산 시에 주주가 받는 자산을 계산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보통 1을 기준으로 1 미만이면 저평가로 평가됩니다. 

 

주가가 높거나, 순자산이 적으면 PBR은 높아지고

주가가 낮거나, 순자산이 많으면 PBR은 낮아집니다.

 

ROE-Return On Equity

 

ROE은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자기 자본 이익률'을 뜻합니다.

 

ROE (자기 자본 이익률)= 당기순이익 / 자기 자본 

 

당기순이익을 자기 자본인 순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돈을 얼마나 많이 벌었는지 보는 지표입니다. 

당기순이익이 높으면 자기 자본을 갖고 많이 벌었다는 뜻이기 때문에 기업의 능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식을 하시는 분들이 가장 많이 보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당기순이익이 높고 자기 자본이 적을 수록 ROE는 높아지고

당기순이익이 낮고 자기자본이 많을수록 ROE는 낮아집니다. 

 

주식용어

 

지금까지 주식 용어인 EPS, PER, PBR, ROE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 값들을 일일이 다 계산하지 않아도 포털사이트에 기업실적들을 분석해놓은 자료를 보면대 부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이 지표들이 무엇을 뜻하는지만 알고 있어도 해석이 가능하겠지요.

 

 

하지만 방금 살표본 지표들은 결코 절대적이지 않습니다. 주가라는 것은 많은 변수들이 있기 때문인데요.

단순히 참고하는 정도로만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지표들을 참고하여  좀 더 신중한 투자를 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