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기초

주식배당금 받는 방법

by 퍼포먼스마케터No.1 2022. 3. 15.
반응형

요즘 주가 시장이 계속 침체기 속에 있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배당을 주는  안정적인 기업에 투자를 해서  예/적금 이자보다 수익을 낼 수 있는 배당주 쪽으로 투자를 하시는 분들이 많아지는데요.

 

오늘은 주식 배당금을 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배당금

배당금이란?

 

회사가 1년동안 사업을 해서 생긴 이익을 주식 소유자에게 주는 회사의 이익 분배금입니다. 

 

배당금 여부는 기업마다 다 다릅니다. 주가가 많이 올랐다고 해서 모든 회사가 주주에게 배당금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배당은 잉여금으로 주게되는데 이익이 나지 않거나, 현금 유동성이 낮은 기업은 배당지급을 안 할 수도 있습니다.

 

배당락일과 배당기준일

 

배당 기준일: 주주가 주식을 공식적으로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마지막 날

배당락일: 배당을 받을 수 없는 날을 뜻하는 것으로 증시 폐장일 전날입니다. 

 

2022년을 예를 들어 알아보겠습니다. 

12/27(화), 12/28(수), 12/29(목), 12/30(금), 12/31 (토)

 

휴장일은 12월 마지막 평일인 12/30(금)이 됩니다. 

증시 폐장일은 휴장일 전 날 이므로 12/29(목)이 되고,

배당락일은 폐장일 전 날인 12/28(수)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배당금을 받으려면 배당 기준일인 12/27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배당금을 목적으로 매수할 때 유념해야 할 것은 주식으로 실제로 들어오기까지 2일 정도 걸리기 때문에 꼭 배당 기준일 2 영업일 전까지 매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매도는 배당 지급일이 지나면 아무 때나 가능합니다. 

 

배당금 주기는  연 1회 배당금을 주는 기업이 있고, 반기로 연 2회로 주는 기업, 분기로 주는 기업 기업별로 다 다릅니다. 

정확한 사항은  DART(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서 거래소 공시로 조회해서 공시 내용을 보면 배당금 주기, 주당 배당금, 배당기준일, 배당금 지급일 등을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삼성전자와 포스코가 분기배당을 해왔으면 , 최근에  SK텔레콤, 신한금융지주, 씨젠도 분기 배당하는 것으로  결의했다고 합니다. 

 

배당을 받는 조건은?

 

배당금을 받는 조건은 배당 기준일에 배당금을 받는 주식을 가지고 있으면 주식계좌로 알아서 입금이 됩니다.

배당금은 기업마다 다르지만 보통 3월 주주총회에서 확정시켜 4월에 지급합니다. (공시 확인 필요)

 

배당 소득세

 

배당금이 2천만 원 이하 소득일 경우, 주식계좌에 입금되기 전에 자동적으로 배당 소득세 15.4%를 떼고 입금이 됩니다. 

2천만 원이 초과하면 종합소득으로 과세됩니다. 

하지만 개인 투자자의 배당금이 2천만원 넘어가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15.4%로 알고 있으면 됩니다. 

 

배당주 투자 방법

 

여러 가지 변수가 있고 항상 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론적으로 알아두면 좋을 배당주 투자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배당기준일 2일 전에 주식을 매수 후 배당락일에 매도를 해서 수익을 얻는 방법, 

두 번째는 연말에 배당주 매수를 해서 연초에 주가가 회복됐을 때 매도를 해서 수익을 얻는 방법이 있습니다.

 

배당주를 통해서도 얻는 수익은 아무래도 적은 금액이지만 지금같이 주가 시장이 침체됐을 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